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

프로젝트 계약직을 일반 계약직으로 바로 고용할 수 있을까!? 이번 글에서는 프로젝트 계약직을 일반 계약직으로 바로 고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업무를 하다보면 프로젝트 계약직의 프로젝트가 끝나고 사후정산, 후속조치를 위해 해당 인원을 계속해서 고용해야하는 사유가 생깁니다. (사실 '해야하는' 사유는 아니고 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겠지만요 ^^;) 이런 경우 먼저 해당 계약직이 기간제법에서 정의하는 프로젝트 계약직에 해당하는지부터 확실히 검토하고 가는 것이 중요한데요 기간제근로자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 4조 제 1항은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4조(기간제근로자의 사용) ①사용자는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기간제 근로계약의 반복갱신 등의 경우에는 그 계속근로한 총기간이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 2023. 9. 1.
취업규칙 변경 시 유의해야할 점, 취업규칙 변경 절차 안녕하세요 취업규칙 변경 시 유의해야할 점과 취업규칙 변경 절차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취업규칙 변경과 관련하여 근로기준법 제 94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습니다. 법령 내용 근로기준법 제94조(규칙의작성, 변경절차) ①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한다. ② 사용자는 제93조에 따라 취업규칙을 신고할 때에는 제1항의 의견을 적은 서면을 첨부하여야 한다. 원칙적으로 취업규칙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집단적 회의 방식'을 거친.. 2023. 8. 31.
연차수당 계산기 필요 없는 연차수당 계산 - 연차수당 지급기준 알아보기 회사에 다니면 누구나 쓰고 싶어 하는 것이 있죠. 바로 연차휴가입니다. 하지만 업무를 하다 보면 발생한 연차를 사용기한(1년) 내에 다 소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연차휴가를 사용기한 내 소진하지 못하거나 중도에 퇴사하게 되는 경우에 근로자는 미사용 연차에 대한 연차수당(정확히는 연차미사용수당이 맞지만 편의를 위해서 연차수당이라고 할게요)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물론 회사에서 연차수당 지급기준 및 연차수당 계산법에 따라 잘~~ 계산해서 지급해 주겠지만 내가 직접 연차수당을 계산해서 나의 연차수당이 얼마인지 알고 받는 것과 모르고 받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겠죠!? 그래서 오늘은 연차수당 계산기 필요 없는 연차수당 계산!! 연차수당 지급기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연차수당 계산은 산식이 간단해서 굳이.. 2023. 8. 30.